IT Dictionary

네트워크 장비 종류

Jaebins 2023. 4. 29. 11:53
반응형

⛳ 랜카드(Lan Card)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터간 신호를 주고받는 데 쓰이고, NIC(Network InterfaceController) 라고도 한다. 주로 메인보드에 내장되어 있으며, 유선 랜카드와 무선 랜카드로 나눠질 수 있다.
OSI 1계층에 속한다.

출처 : 위키백과

⛳ 허브(Hub)

여러 대의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들을 연결해주는 장치이다. 한 장비에서 송신된 데이터들은 연결되있는 모든 장비에게 수신이 되고, 이에 따라 많은 장비들이 연결되어 있으면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다(브로드캐스트 전송방식). 현재 허브는 스위치로 대체되고 있으며, 잘 사용되지 않는다.
OSI 1계층에 속한다.

 

4포트 10BASE-T  이더넷 허브.

⛳ 리피터(Repeater)

신호를 증폭하여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을 확장시켜준다. 즉, 먼거리까지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장비이다. 그러나 확장성이 뛰어난 UTP 케이블이나 광케이블이 등장해 잘 사용되지 않는다.
OSI 1계층에 속한다.

  • 세그먼트(Segment) : 네트워크 단위

⛳ 브리지(Bridge)

허브에서 만들어진 콜리전 도메인을 분리하고, 연결시켜 패킷을 전달시켜준다. 해당 작업은 유동적으로 패킷을 전달 시켜주고, 충돌을 방지해준다. 또한 소프트웨어 기반이기 때문에 실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OSI 2계층에 속한다.

  • 콜리전 도메인(Collision domain) : 통신이 일어날 때, 충돌이 일어나는 범위

⛳ 스위치(Switch)

허브에 비해 처리 가능한 패킷의 숫자가 확장되고, 전송 속도가 개선된 장비이다. MAC 주소와 포트 번호가 기록된 MAC 주소 테이블이 있기 때문에 목적지를 특정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멀티캐스트 전송방식).
OSI 2계층에 속한다.

 

50포트 어바이어  ERS 2550T-PWR

⛳ 라우터(Router)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여 통신한다. 목적지 주소와 링크 비용과 같이 전송에 필요한 정보가 들어있는 라우팅 테이블 구성 요소에 따라 통신이 이루어진다. 허브와 스위치는 내부 LAN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된 것이라면, 라우터는 외부의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해서 구현된 것이다.
OSI 3계층에 속한다.

 

출처 : 위키백과

⛳ 게이트웨이(Gateway)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해준다. 즉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의 추상적인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OSI 7계층에 속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