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Rabin
- RSA 암호의 변형
- 한 번의 곱셈으로 이루어지는 연산으로, 매우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
- 스마트카드와 같은 성능이 낮은 플랫폼에서 잘 활용됨
2. EIGamal
- 이산대수 문제에 근거해서 만든 시스템
- Diffie-Hellman 알고리즘의 확장 버전
- 암호문의 길이는 평문의 약 2배가 됨, 다른 알고리즘과 비교할 때 가장 느림
- 키 교환, 인증, 짧은 메시지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
- 암호 소프트웨어 GunPG에 구현됨
3. 타원 곡선 암호(ECC, Elliptic Curve Cryptosystem)
- RSA와 EIGmal은 안전하지만, 키의 길이가 매우 커야 한다는 단점이 있음
- 타원 곡선이라는 이론은 키의 길이가 짧아도 되는 것에 근거에 둠
- 타원 곡선 군에서의 이산대수의 문제에 기초함
- 주로 무선 단말기 등과 같이 메모리와 처리능력이 제한된 응용분야에 효율적

반응형
'IT Dictionary > 정보보안산업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해시 함수(Hash Function) (0) | 2025.11.25 |
|---|---|
| 하이브리드 암호 시스템(Hybrid Cryptosystem) (0) | 2025.11.24 |
| RSA(Rivest-Shamir-Adleman) (0) | 2025.11.23 |
| 비대칭키 암호 개요 (0) | 2025.11.23 |
| 대칭키 암호(블록암호 운영모드 5가지) (0) | 2025.11.20 |